경남도는 어촌과 수산분야 발전에 꼭 필요한 69개 사업(기존 65, 신규 4)을 추진하기 위하여 국비 1,610억 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부문별로는 SOC투자 11개 947억 원, 해양 환경보전 15개 388억 원, 어촌 소득증대 26개 229억 원, 귀어 및 수산 인력양성 10개 30억 원, 조건불리 지역 지원 2개 12억 원, 기타 안전 5개 4억 원을 확보했다.
세부내역은 바다환경 지킴이 지원, 친환경 부표 보급지원, 어촌뉴딜300 등 기존 65개 사업 1589억 원과, ①장승포항 종합발전계획 ②패류생산해역 바다공중화장실 확충 ③폐스티로폼 부표 처리비 지원 ④굴껍데기 자원화 전처리 시설 지원 4개 신규사업 21억 원으로 경남도가 확보한 주요 국비사업은 아래와 같다.
□ 패류생산해역 바다공중화장실 안정적 확충
2년마다 실시하는 미국 식품의약품청(FDA) 수출용 패류생산해역 점검대비와 오염원 차단을 위해 패류생산해역 바다공중화장실 설치비 4억 원을 확보했다.
2012년부터 지방비 등을 활용하여 바다공중화장실 20개소를 설치 운영하고 있었으나, 최근 늘어나는 해역이용자에 의한 오염위험이 증가하고, 2023년 예정된 미국 식품의약품청(FDA) 현장점검에 대비하기 위해 바다공중화장실 추가 설치가 필요한 상황에서 경남도가 해양수산부에 적극 건의하여 사업비를 확보했다.
도는 안정적 국비 확보를 바탕으로 화장실을 지속적으로 설치하여 수산물 위생안전성을 확보하고 대외신뢰도 제고로 패류 수출이 확대되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 굴 껍데기 처리 문제 해결과 자원화를 위한 기반 마련
통영을 비롯한 남해안 해역 고질 민원인 굴 껍데기 처리 문제 해결과 「수산부산물법」시행에 따른 자원화를 위한 기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올해 7월부터 굴 껍데기가 폐기물이 아닌 수산부산물로 바뀌면서 굴 껍데기 처리 정책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이에 경남도에서는 굴 껍데기 관련 정책을 펼치고 있는데, '23년도 신규사업으로 굴 껍데기 자원화 전처리 시설 지원을 위해 국비 10억 원을 확보하였고, 사업의 중요성을 감안해 국회 심의 최종 단계에서 3억 원을 추가로 반영해 13억 원 을 확보했다.
또한, 내년까지 통영에 150억 원을 투입하여 굴 껍데기 자원화 시설을 구축할 계획이며, 굴 껍데기 친환경 처리를 위해 '09년부터 지금까지 매년 100억 원의 사업비를 지원해 오고 있다.
경남도는 굴 껍데기 자원화 사업비 확보로 굴 패각처리 방안을 마련하여 어촌 경관개선과 굴 양식산업 발전 등에 따른 어촌 소득 증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